- 병증명을 클릭하시면 원본페이지로 이동하여 보다 많은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전통지식 병증출처는 특허청에서 운영하는 "한국전통지식포탈"에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총 12,5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
- 궁외잉(宮外孕)
-
- 정의
- 자궁 이외의 부위에 임신이 되는 것.
- 관련처방
- 궁외잉방(宮外孕方), 활락효령단(活絡效靈丹)
-
- 협상(夾傷)
-
- 정의
- 다친 것을 포함한다는 뜻
- 관련처방
- 경액고(瓊液膏)B, 경액산(瓊液散), 대장단(代杖丹), 대장탕(代杖湯), 육진고(六眞膏)
-
- 천행장역(天行瘴疫)
-
- 정의
- 덥고 습기가 많은 지대에서 생긴 병독(病毒)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염병. [동의보감(東醫寶鑑)] <잡병편(雜病篇)> 제7권에서 ‘장역(瘴疫)은, 영남(嶺南)에서는 봄과 가을에 사람들이 산람장무(山嵐瘴霧)의 독기(毒氣)에 감하여 온학(溫瘧)이나 한열병(寒熱病)이 생기는데, 이는 독기가 입과 코를 통하여 들어온 것이다.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을 쓴다. 남방(南方)의 역려(疫癘)는 산람장기(山嵐瘴氣)나 계원(溪源)의 증독(蒸毒) 기에 의하여 생기는데, 그 증상은 열이 상초(上焦)에 있어 병이 발생하려 할 때 사람이 혼미(昏迷)하고 곤(困)하며 심하면 번조(煩躁)하거나 광망(狂妄)한다. 또한 목이 메어 말을 못하는 자도 있는데 모두 패혈(敗血)이 심(心)에 뭉치고 독연(毒涎)이 비(脾)에 뭉치기 때문이다. 가미시호탕(加味柴胡湯)을 쓴다.(瘴疫, 嶺南春秋時月, 人感山嵐瘴霧毒氣, 發爲瘟瘧寒熱, 此毒氣從口鼻入內也, 宜升麻蒼朮湯. 南方疫癘, 挾嵐瘴溪源蒸毒之氣, 其狀熱乘上焦, 病欲來時, 令人迷困, 甚則發躁狂妄, 亦有啞而不能言者, 皆由敗血瘀於心, 毒涎聚於脾所致, 宜加味柴胡湯)’라고 하였다.
- 관련처방
- 오침탕(烏沈湯)B
-
- 흉격허비(胸膈虛痞)
-
- 정의
- 흉격에 허비가 생긴 병증
- 관련처방
- 균기산(勻氣散)E, 분신기음(分心氣飮)
-
- 중한상충(中寒上沖)
-
- 정의
- 한사(寒邪)가 삼음경(三陰經)에 곧바로 침입하여 기운이 위로 치밀어 오르는 것.
- 관련처방
- 소리중탕(小理中湯), 십팔미정침투격탕(十八味丁沈透膈湯), 이중탕(理中湯)S
-
- 이한외열(里寒外熱)
-
- 정의
- 장부(臟腑)의 한증(寒證)과 기부(肌膚)의 열증(熱證)이 공존하는 상태.
- 관련처방
- 수중금원(守中金圓), 이중원(理中圓), 이중탕(理中湯)S
-
- 한열교작(寒熱交作)
-
- 정의
- 한사와 열사가 섞기어 나타나는 증상
- 관련처방
- 연심산(蓮心散)B, 용담탕(龍膽湯)C, 육화탕(六和湯)A, 육화탕(六和湯)E, 육화탕(六和湯)N
-
- 심비부조(心脾不調)
-
- 정의
- 심비(心脾)가 서로 조화롭지 못한 것.
- 관련처방
- 육화탕(六和湯)A, 육화탕(六和湯)E, 육화탕(六和湯)N
-
- 진두(疹痘)
-
- 정의
- (1) 두창(痘瘡; 천연두)이나 수두(手痘)를 앓을 때 피부에 내돋는 발진. (2) 천연두와 홍역을 포함한 발진성 질병을 통틀어 이른 말
- 관련처방
- 소독서각음(消毒犀角飮)B, 전씨사성산(錢氏四聖散)
-
- 이롱목암(耳聾目暗)
-
- 정의
- 소리를 듣지 못하고 눈이 보이지않는 것.
- 관련처방
- 소음원(消飮圓), 장수원(長壽元)